- 영문명
- A Class Analysis Case Study on the ‘Expression’ Realm of Art Class in Special Education School for the Blind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송민철(Song, min-chul)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7호, 449~47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4.15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시각장애 특수학교 미술 ‘표현’ 영역에서의 수업 사례를 ‘수업구조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시각장애 특수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미술 ‘표현’ 영역 수업의 맥락을 살펴보고, 효과적인 수업 실행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업구조분석’을 이용한 질적 사례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이 연구에는 시각장애 특수학교에서 미술 교과를 담당하고 있는 교사가 참여하였고, 2017년 4월부터 10월까지 자기장학용 으로 촬영된 22회의 수업 영상 중 같은 대상으로 촬영된 미술 ‘표현’ 영역의 수업 사례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수업 사례를 ‘수업구조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수업구조분석’을 활용한 시각장애 특수학교 미술 수업의 질적 향상을 위한 방안과 수업의 효율적인 운영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아울러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시각장애 특수학교의 다양한 교과 수업을 ‘수업구조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는 사례 연구와 특수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수업 멘토링 또는 수업 컨설팅 등에 ‘수업구조분석’을 활용하는 사례 연구가 필요하 다고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intented to analyze the class case of art ‘expression’ realm in special education school for the blind using a ‘time-lined structure diagram analysis’ method.
The purpose was to examine the context of the art ‘expression’ realm in special education school for the blind and to find ways for effective class practice. To achieve this purpose,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using a ‘time-lined structure diagram analysis’ was used. A teacher who is in charge of the art class at the special education school for the blind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 class cases of the art ‘expression’ realm were collected for the same subject among 22 class videos taken for self-supervision from April to October 2017. The collected class cases were analysed using a ‘time-lined structure diagram analysis’ method and the results were deriv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qualitative improvement ways of the art class in special education school for the blind using ‘time-lined structure diagram analysis’ and the efficient class operation method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discussion, it was suggested that a case study analysing various classes of the special education school for the blind with a ‘time-lined structure diagram analysis’ and a case study applying ‘time-lined structure diagram analysis’ to class mentoring or class consulting done at a special education field were required.
목차
Ⅰ. 서론
Ⅱ. ‘수업구조분석’의 이해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