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Parent’s Relationship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trol and Career Self-Efficacy Sourc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하수경(Ha, su ky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6호, 287~30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3.30
국문 초록
연구는 부모와의 관계가 대학생의 진로결정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조절과 진로효능감 근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4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부모지지, 부모와의 자기개방, 자기조절, 진로효능감 근원, 및 진로결정효능감 척
도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부모지지 및 부모와의 자기개방이 높은 대학생일수록 자기조절, 진로효능감 근원 및 진로결정효능감이 높았다. 둘째, 대학생의 진로결정효능감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은 부모지지, 부모와의 자기
개방, 자기조절 및 진로효능감 근원이었다. 진로효능감 근원에서 성취경험과 정서적각성, 부모와의 관계에서 모와의 자기개방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조절과 진로효능감 근원이 부모와의 관계와 진로결정효능감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와의 관계는 진로결정효능감에 직접적인 효과를 주고 자기조절과 진로효능감 근원에 의해 간접적인 효과도 동시에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gulation and career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relationship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University students completed questionnaires including inventory of support behavior, self-disclosure, self-control, career self-efficacy sourc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Data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First, Parent’s relationship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control, career self-efficacy
sourc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econd, enactive mastery experience,
affective states, mother’self-disclosure, self-control, significantly explaine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dditionally, the mediation effects of self-control and career self-efficacy source were found.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