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ain and Strain of Parents` Work-Family Reconciliation, Parenting Efficacy and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and School Adjustmen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연은모(Yeon, Eun Mo) 최효식(Choi, Hyosi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6호, 271~29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3.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2학년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를 대상으로 어머니와 아버지가 지각한 일-가정 양립 시 이점과 갈등, 양육효능감 간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살펴보고, 어머니와 아버지가 지각한 일-가정 양립 시 이점과 갈등, 양육효능감,
자녀의 집행기능곤란, 학교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 9차년도(2016년) 자료의 맞벌이 부모 388쌍과 자녀의 특성에 대한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분석 방법으로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일-가정 양립 시 이점 및 갈등이양육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과가 확인되었다.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일-가정 양립 시 이점의 상대방효과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아버지의 일-가정 양립 시 갈등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상대방효과는 확인되었다. 둘째, 어머니의 경우 일-가정 양립 시 이점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는 자기효과가 더 큰 반면, 일-가정 양립 시 갈등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는 상대방효과가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버지의 경우 일-가정 양립 시 갈등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는 자기효과가 상대방효과보다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일-가정 양립 시 이점과 갈등이 자녀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양육효능감, 집행기능곤란을 매개로 한 4개의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mutual influence of work-family reconciliation on dual-income couples, and internal and external problems of their children. Specifical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 between perceived work-family gain and strain with parenting efficacy. The study also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work-family gain and strain, parenting efficacy,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and school adjustment. The results of the Actor and 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in 399 pairs of dual-income parents and their children from the 9th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2016) are as follows. First, the gain and strain of parents`
work-family reconciliation had an actor effect on parenting efficacy and the gain and strain of father’s work-family reconciliation had a partner effect on mother`s parenting efficacy. Second, the fain and strain of mother’s work-family reconciliation had a greater partner effect on parenting efficacy while father’s had a greater actor effect.
Third, the gain and strain of parents` work-family reconciliation showed no direct effect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However, the gain and strain of parents` work-family reconciliation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 school adjustment through parenting efficacy and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