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Understanding the diagnostic assessment of storytelling proficiency in business educ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신동일(Dongil Shin) 김금선(Keumsun Kim) 박수현(Soohyeon Park) 김나희(Nahee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6호, 529~559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3.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학술문헌으로부터 수집된 스토리텔링 진단평가도구들의 차별적인 특성을 기업교육의 맥락과 실제적 채점 활동으로부터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팀은 특수교육, 유초등교육, 언어치료, 영어교육 등 다
양한 학술 분야로부터 관련 선행문헌을 검토했고, 삼성전자 직원 대상의 2017년 봄학기 스토리텔링 교육과정에 참여한 3명의 학습자들이 사전-중간-사후 평가도구 문항에 응답한 자료를 각기 다른 진단평가 모형에 적용해보았다. 스토리텔링 진단평가
의 대표적인 모형 8개(Bliss, McCabe, & Miranda, 1998, Gilllam & Person, 2008; Hedberg & Stoel-Gammon, 1986; Heilmann, Miller, & Nockerts, 2010; Justice etal., 2010; Labov & Waletzky, 1967; Stein & Glenn, 1979)로부터 연구팀은 학습자들의 구술 자료를 채점하고 개별적으로 작성한 채점자 일지를 공유하면서 각 평가도구의 특성을 탐색했다. 채점자들의 관점과 채점 결과는 2018년 1-2월 총 5회에 걸친 전체 회의로부터 공개적으로 논의되고 조정되었다. 본 연구는 채점자들이 공유한 진단평가 과업의 적절성, 평가등급과 채점절차의 명시성, 평가영역의 채점 수행성에 관한 논점을 요약했고 추후 기업교육, 스토리텔링 교육, 구술 진단평가에서 고려되어야 할 사안을 제시해 두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iagnostic assessment of storytelling proficiency in business education. Over the decades, oral narrative skills have been deemed as a key component of language learning process, and the related diagnostic information has been significant interest to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in speech
pathology, children language learning, or first/second language acquisition. Few studies, however, have been devoted to storytelling assessment in EFL (English as Foreign Language) business education. In this study, eight diagnostic assessment models of storytelling were collected, revised, and evaluated by five experienced researchers and teachers in a business education program, where students enrolled on the course titled ‘English Storytelling Practice’ within Samsung Electronics. Oral narrative samples were analyzed by micro, macro, mixed narrative scoring schemes. It was found that as micro narrative scoring scheme had low practicality to raters, especially for time-consuming and ambiguous rubric, so did mixed narrative scoring scheme. Macro scoring scheme
had relatively high practicality to raters, but it provided insufficient diagnostic information to upper intermediate level storytellers. Theses finding have implication for future development of diagnostic assessment instruments in localized and business contexts.
목차
Ⅰ. 서 론
Ⅱ. 스토리텔링과 진단평가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