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an Flipped Learning Be an Alternative?: A Critical Review Based on the Essence of Flipped Learni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송성민(Song, Seong-mi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6호, 1387~141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3.30
국문 초록
플립러닝은 일방적 지식 전달에 치중하는 전통적 수업 방식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에서 등장한 새로운 수업 패러다임이다. 플립러닝이 학교 현장에서 널리 활용되고 이에 대한 연구도 왕성하게 수행되고 있으나, 이를 과신하거나 남용하는 문제 또한
커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플립러닝의 본질관에 입각하여 일부 연구 경향을 비판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플립러닝의 본질을 크게 전환(flipped), 상호작용(interaction), 교수학습 문화(the culture of teaching and
learning)로 정리하였다. 이러한 본질관에 입각하여 일부 연구를 분석한 결과, 패러 다임으로서 플립러닝의 취지를 제대로 구현하지 못하거나 엄밀하지 못한 연구 설계로 인해 플립러닝의 효과를 과장하고 효과의 기제를 명확히 설명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플립러닝의 본질적 의미와 미시적 변화에 주목하는 연구들도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플립러닝이 진정한 교수학습의 대안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방향성이 무엇인지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Critics say that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focus on only one-sided transfer of knowledge. Flipped learning has emerged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Flipped learning is widely used on schools today. There are also many research on the effects of flipped learning, teaching strategy of flip-learning, etc. However, as flipped learning
becomes more popular, misunderstanding are also increasing. In this case, flipped learning can not be used properly. Therefore, in this study, we looked at what the essence of flipped learning is, and then critically examined the research trends on flipped learning and the classroom cases. This study summarized the essence of flip
learning as “flipped”, “interaction”, and “the culture of teaching and learning.” In other words, if flipped learning can not change the role, awareness, and climate of teachers and students as a whole, it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it is not proper flipped learning.
I have criticized some research and teaching cases of flipped learning as follows : First, the effects of flipped learning might be exaggerated due to the inadequate research design. Second, some studies do not properly reflect the essence of flipped learning asa paradigm. Therefore, flipped learning should be considered as an real alternative
model of teaching and learning.
목차
Ⅰ. 서론
Ⅱ. 플립러닝의 개념과 효과
Ⅲ. 플립러닝의 본질 고찰
Ⅳ. 플립러닝 연구에 관한 비판과 대안 모색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