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Lesson with Generated Questions Application in Clinical Practice Education for Nursing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진영(Kim, Jin Young) 이숙희(Lee, Sook H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6호, 997~101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3.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습자 질문 중심 교수학습법을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교육에 적용하여 학습만족도, 비판적 사고성향, 학습동기 및 교수학생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G시에 소재한 대학의 간호학과 3학년 학생으로 실험군 26
명, 대조군 26명 총 5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학습자 질문 중심 교수학습법은 2018년 2학기 여성건강간호학 실습교과목에 J병원으로 임상실습 중인 학생들에게 적용하였다. 실험군의 수업설계는 오리엔테이션, 2주 학습자 질문 중심 교수학습법이 접목된 임상실습 및 4회 집담회 참석으로 진행하였다. 대조군은 학습자 질문 중심 교수학습법 적용을 제외한 임상실습 전 교과목 오리엔테이션, 2주 임상실습 및 4회 집담회 참석으로 진행하였다. 연구자료는 Independent t-test와 Mann Whitney U test,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습자 질문 중심 교수학습법 전, 후 학습동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z=-3.14, p=.002) 비판적 사고성향, 교수학생 상호작용, 학습만족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간호대학생이 작성한 개인 성찰일지를 질적연구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 처음 경험하는 수업방법에 대한부담감’, ‘학습자 질문 중심 교수학습법을 즐김’, ‘ 학습자 질문 중심 교수학습에 대한만족감’ 이라는 주제어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학습자 질문 중심 교수학습법의 효과를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교육에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향후유용한 교수학습법으로 활용대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 of lesson with generated questions application in clinical practice education of nursing students on learning satisfaction, critical thinking, learning motivation and professor student intera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2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6 students in the nursing
department of the university in G city. The lesson with generated questions was applied to the clinical practice education in the second semester of maternity nursing practice in 2018, The instructional design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nducted through the orientation sessions, clinical practice education with 2 weeks lesson with generated
questions, and attendance of 4 conference.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orientation sessions, two-week clinical practice education, and 4 conference excluding lesson with generated questions. The data were analyzed by independent t-test, Mann Whitney U test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arning motivation(z=-3.14, p=.002),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ritical
thinking propensity, professor student interac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ersonal reflection journal made by the nursing students using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t was found that the main word ‘burden’, ‘enjoy’, ‘satisfaction’ about lesson with generated questions. In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hat
the effect of lesson with generated questions is confirmed in clinical practice education of nursing studen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