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Phenomenological meanings of Art Experience in 5-year-old classrooms at Daycare center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수연(Kim, Suyoun) 정가윤(Chung, Kayo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6호, 819~84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3.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들이 미술경험을 어떻게 해석하고 수용하며 표현하는가에 대해 살펴보고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미술경험의 의미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실제 실행되고 있는 미술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여 만 5세 유아들의 관점을 확고히 하고 이해하
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6년 4월부터 12월까지 8개월 동안 만 5세반 3곳의 유아 53명, 교사 3명을 관찰하고 심층면담을 하며 벤 매넌의 해석학적 현상학 방법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만 5세반의 미술경험은 다른 자유 안에서의 누
림, 성숙과 순응으로 빚어지는 표현방법, 해석과 재현이 공존하는 작품세계, 그림거울 속에 있고 없는 자신, 구별되는 향유물로서 유아가 계획한 미술경험과 교사가 계획한 미술경험을 향유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미술경험이라는 현상을 그대
로 드러냄으로서 유아들의 미술경험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교육과정 개발과 수업개선, 교사의 인식 변화와 역량 개발 방향의 초석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young children comprehend, accept and express their art experiences, and to reveal the meaning of art experiences which happen in the classroom. By exploring art experiences deeply that are practicing in the class,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viewpoints of 5-year-old children and to understand them.
This study used Van Mannen s analytical phenomenology process. Participants were 53 5-year-old children and 3 their homeroom teachers from 3 daycare centers. As results, children enjoyed their planned art experiences and teacher planned art experiences as a distinctive enjoyment, the enjoyment in different freedom, the expression ways created by maturation and accommodation, the works world coexisted in interpretation and reproduction and the self which is and is not in the painting mirror. By revealing the practice of art experiences actually this study has a meaning to provide a corner stone of curriculum development, the change of teacher perception and empowerment in
addition to the understanding for children s art experienc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