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eachers’ implicit knowledge of young children character and character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리나(Reena Park) 황해익(Hae-ik Hwa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5호, 431~45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3.15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인성과 유아인성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주관적 지식과 가치를 살펴보기 위해 암묵적 지식을 탐색하였다. 서울 및 경상남도 소재 유아교육기관 교사 200명을 임의표집하여 질문지를 배부한 후 최종 129명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들은 유아의 인성을 일반적 인성개념과 인성내용요소를 기반으로 유아기 특수성과 함께 자신의 신념과 경험론적 판단을 반영하여 정의하고 있었으며, 둘째, 유아인성교육의 목적을 사회유지 및 발전, 유아기적 특성(인성발달의 결정적 시기), 유아 개인의 성장, 발달증진에서 찾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들은 유아인성을 ‘배려’ ‘친사회성’, ‘예절’, ‘긍정성’ 등에 초점을 두고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드러난 유아인성과 유아인성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암묵적 지식에 기반하여 유아인성과 유아인성교육의 개념을 도출하 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유아인성교육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eacher’s implicit knowledge of young
children character and character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129 teachers engaged in open-ended question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4 specialis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young children character is defined based on the generic definition of character, contents of character, and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2. character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should be implement for social maintenance and evolution, and growth of young children, because early childhood is critical period of character development. 3. young child be judged good character by their teacher has consideration, prosociality, manner, positive and passion in order.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