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fluence of the Perceived School s Competence for School Violence Intervention on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나영(Kim Nayo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5호, 287~30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3.15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소속 학교의 학교폭력 대응역량에 대한 인식이 중학생의 학교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러한 영향관계에 있어 학교특성에 따른 차별적 효과가 존재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교육개발 원에서 수집한「학교교육실태 및 수준 분석 연구」중학교 4주기(2013) 데이터의 학생, 학부모, 교사 및 학교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교육 자료의 위계적 속성을 고려하여 2수준 다층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소속 학교의 학교폭력 대응역 량에 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중학생일수록 학교생활만족도가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학교특성에 따른 차별적 효과를 분석한 결과, 소속 학교의 학교 폭력 대응 능력에 관한 인식이 실제 중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단위 학교 교사들의 생활지도 효능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중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학교 수준 통제 변수를 살펴본 결과, 자아존중감, 부모와의 관계, 교사에 대한 인식, 학교폭력 경험 정도, 교사사기 및 열의 등 학생 개인특성, 가정 배경 및 학교생활 관련 변수의 영향력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중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를 높이고 학교현장에서 학교폭력 대응 능력을 제고 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perceived school s competence for school violence intervention on adolesc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Considering the perceived school s competence for school violence intervention on adolesc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is assumed to vary according to school characteristics, differential effects of schools traits are also analyzed. For the analysis, two-level hierarchical linear modeling(HLM) is employed using data from the fourth wave of middle school survey of the「Korean Longitudinal Study of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KLSPSS)」.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effect of school s competence for school violence intervention on adolesc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 indicates that middle school students who perceive a higher level of their school s competence for school violence intervention tend to have higher level of school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effects of school s competence for school violence intervention on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vary by school characteristics such as teachers guidance efficacy at school level. Third, among student and school level covariates, personal factors, family background and school life factors such as middle school students self-esteem, parental relationship, perceptions toward teachers, level of school violence experience and teachers inspiration and enthusiasm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school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as well as the competency of school violence intervention within school a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