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relationship among types of museum space, number of visitors, and number of collections
- 발행기관
- 한국예술경영학회
- 저자명
- 김정현(Jung Hyun Kim) 박지현(Ji Hyon Park) 신형덕(Hyung-Deok Shin)
- 간행물 정보
- 『예술경영연구』제49집, 65~8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2.28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박물관의 공간구성을 구분하여 각 영역의 면적이 박물관 방문객수와 소장품수에 대해 갖는 관계에 대해 고찰하였다. 영역의 구분은 다양한 학자들(예를 들어 서상우, 2008; 이난영, 2008; Ambrose & Paine, 2012)에 의해 다양한 방식
으로 이루어졌지만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박물관 공간 구분을 가장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는 Lord et al. (2012)의 방식에 따라 공공/비공공 영역과 컬렉션/비컬렉션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853개 박물관 데이터를 이용한 회귀분석 결과 공공/컬렉션
영역은 연방문객수와, 비공공/컬렉션 영역은 소장품수와 각각 유의한 정(+)의 관계를 갖는 것을 발견했다. 본 연구는 방문객수와 수장품수로 표현될 수 있는 박물관의 외형적 특징과 해당 박물관의 공간구성과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박물관 성과에
대한 학문적 시사점과 함께 박물관 운영자에게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type of museum space, number of visitors, and number of collections. Museum space has been sorted in various ways(e. g. Seo, 2008; Lee, 2008; Ambrose & Paine, 2012), but this
study adopted Lord et al. (2012) s typology, which has public/non-public and collection/non-collection space, considering that Korean museums space fits their typology. Using 853 museum data our regression analyses show that public-collection space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number of visitors is bigger, while non-public-collection space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number of collections. This study ha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by showing there are differential relationship among those physical museum characteristics and museum performance.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가설 검증
IV. 실증분석
V.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