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the Improved Drainage Capacity of Urban Basins at an LID Facility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배강희(Bae, Kanghee) 안재황(Ahn, Jaehwang) 최영제(Choi, Youngje) 김병식(Kim, Byungsik) 이재응(Yi, Jaeeung)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19권1호, 311~32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1.30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강우-유출 수문해석 모형의 하나인 SWMM을 통해 LID시설에 따른 첨두유량의 변화와 하수관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대상 LID시설은 투수성 포장, 나무 여과상자, 식물 재배화분, 식생 체류지, 침투 도랑, 침투통,
침투형 빗물받이 등 총 7개 요소의 LID시설이며 35,151 ㎡에 걸쳐 설치 되어있다. SWMM을 통한 LID시설 효과의 검토
결과, 유역별 첨두유량은 평균 9.07%의 저감율을 보였으며, 전체 연구대상유역은 7.46%의 저감율을 보였다. 또한 지선하수관거는 10년빈도 확률강우에 대해 13.22%, 간선하수관거는 30년 빈도 확률강우에 대해 9.69%의 여유율의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change in the peak flow rate and discharge capacity of a sewage network with LID facilities using the rainfall runoff hydrological model SWMM. The demonstration complex has an area of 35,151 m2 and include the seven elements of LID facilities: a porous pavement, tree box filter, planter box, bio retention, infiltration trench, rain barrel, and an infiltration rain catch basin. The results of analysis using the SWMM show that the peak flow rate per watershed decreased by 9.07% on average and 7.46% within the target site. According to the result observed for discharge capacity within sewerage network, the branch sewer improved by an allowance of 13.22% for a 10-year return frequency and main sewer improved by an allowance of 9.69% for a 30-year return frequency.
목차
1. 서 론
2. 연구방법 및 내용
3. 연구결과 및 분석
4.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