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Change of Urban River according to Installation of Interceptors and Wastewater Treatment Plant
- 발행기관
- 개인저작물
- 저자명
- 주연연(Juan Juan Zhou) 임봉수(Bong Su Lim)
- 간행물 정보
- 『개인저작물 - 공학』제36권, 제12호, 813~820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개인저작물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null.null

국문 초록
대전 3대하천을 대상으로 차집관로와 하수처리시설 증설로 인한 도시하천의 수질변화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지난 10년 동안 최고 수질에서 최저 수질의 차이가 가장 큰 하천지점은 하수처리시설 하류부인 갑천5(신구교) 지점이다. 반면에 최근 수질은 이 지점이 다른 지점보다 수질이 불량한 것은 하수처리시설의 방류수 영향이다. 하수처리시설 상류부에서는 대전천이 유기물질의 오염감소에서 다른 지점보다 비교적 양호한 지점인데 이는 차집관로의 유지관리 투자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최근 3대하천 수질은 하천수질기준치와 비교하였을 때 대부분 수질항목은 기준치 이내로 적합하였으나 상류지점인 대전천, 유등천, 갑천3 지점의 총인은 기준치에 못 미치므로 하수처리시설 상류부가 하류부보다 차집관로의 유지관리가 더 필요하다. 하수처리시설의 방류수 수질이 하천 수질오염총량관리 지점의 목표수질에 악영향을 주기 쉬우므로 하수처리시설 유지관리의 효율성이 적극 요구된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change of the three streams in Daejeon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expanded installation of interceptors and wastewater treatment plant (WTP). Gabcheon 5 (Singu Bridge) location showed the maximum difference of the highest and lowest concentrations in the last decade. However, the recent water quality of this location was worse than other locations, because of the impact of the effluent from the WTP. In the upstream of the WTP, the Daejeon stream was relatively better than the other locations in organic pollution reduction, and this was caused by the investment for the management of the interceptors in three streams of Daejeon. According to the water quality standard of the stream water quality, the recent water quality of the three streams in Daejeon was acceptable within them in the most of the water quality items, but because the total phosphorus concentration of the upstream such as Daejeon stream, Yudeng stream, Gabchen 3 location did not reach the standard values, a better management of the interceptor was required in the upstream of WTP than its downstream. The upstream of WTP also required a better management of the interceptor than the downstream.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WTP was required a high efficiency because the water quality of the effluent from the WTP incurred an adverse effect to the target water quality in the location of the total water pollution load management system.
목차
1. 서 론
2. 연구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