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Psychological Burnout: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장환(Lee Jang-Hwan) 이운형(Lee un-Hye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4호, 493~51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2.28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감정노동이 심리적 탈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감정노동과 심리적 탈진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찰공 무원 450명을 대상으로 2018년 9월 25일부터 10월 10일까지 설문을 실시하였고, 누락이 되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25부를 제외한 4251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spss 21.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및 상관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감정노동이 심리적 탈진에 미치는 영향과 정서지능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였 다. 그 결과 감정노동은 심리적 탈진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으며, 정서지능은 감정노동과 심리적 탈진 간의 관계에서 부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감정노동을 강하게 경험할수록 심리적 탈진의 수준이 높아 진다는 것을 나타내며, 스트레스 상황에서도 정서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합리적인 사고를 가능하게 하는 정서지능은 감정노동이 심리적 탈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조절 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정되었다는 의의를 가진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함께 제한점, 그리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psychological burnout and to confirm the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psychological burnout. For this purpose, we surveyed 425 police officers about emotional labor, psychological burning,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verify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psychological burnout and the interaction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As a result, emotional labor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burnout, and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negative 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psychological burnou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emotional labor experience, the higher the level of psychological burnout. Emotional intelligence, which enables rational thinking by appropriately controlling emotions even under stress conditions, plays a moderating role in affecting emotional labor This means that it has been confirmed that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of this study,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research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