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rpus-based Analysis of the Topic Distribution and Vocabulary Level of Textbooks, EBS Materials, and CSA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양수영(Yang, Sooyoun) 이동주(Lee, Dong Ju)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4호, 711~72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2.28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 EBS 교재, 대학수학능력시험 읽기 지문의 소재와 소재별 어휘 사용 양상을 비교·분석하고 소재와 소재별 어휘 차이가 학습자에게 학습 부담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영어 교과 서, EBS 교재, 수능의 읽기 지문에 대해 2017년 1월부터 8월까지 코퍼스로 구축한 후, 영어과 교육과정 권장 소재 목록과 비교하고, 소재를 분류하여 읽기 지문별 소재 분포를 확인하고, 교육과정, BNC-COCA-25000, GSL-AWL 어휘 목록과 비교하여 소재별 어휘 사용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는 고른 소재 분포를 보였으며, EBS 교재와 수능은 1번, 18번, 19번 소재에 편중된 분포를 보였다. 둘째, 교과서와 달리 EBS 교재와 수능에서는 가장 많이 등장하는 소재의 교육과정 권장 어휘 반영 비율이 가장 낮았다. 셋째, EBS 교재와 수능에 등장한 1번, 18번, 19번 소재의 경우 BNC-COCA-25000 어휘 밴드 중 가장 높은 수준의 어휘를 요구하였다. 넷째, 교과서와 달리 EBS 교재와 수능은 학술적인 성격의 소재가 상당수 있었다. 교과서가 교육과정을 충실히 반영하여 소재와 어휘 면에서 통제가 이루 어지고 있는 반면 EBS 교재와 수능은 편중된 소재 분포를 보였으며, 자주 등장하는 소재의 어휘 학습 부담이 커서 교과서 읽기 지문의 소재별 어휘 수준의 현실적 조정이 필요하다는 교육적 시사점을 얻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opic distribution and vocabulary level in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EBS materials, and CCASTs,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opic distribution and vocabulary among the different materials. A corpus was constructed with sixteen English I and II textbooks, three EBS materials published in 2016, and the CSATs from 2013 to 2016 respectively. Then these corpora were analyzed to find out how topics are distributed based on the 19 topic categories in the 2009 National Curriculum. In addition, they were analyzed with the corpus-based word lists: the 2009 National Curriculum Word List, BNC-COCA-25000, and GSL-AWL to examine the vocabulary level of the reading material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xtbooks consist of various types of topics based on the curriculum, but in the EBS materials and the CSATs, three out of the 19 topics were highly dominant, which were about personal life, general education and academic education.
Second, the textbooks contain more words from the 2009 National Curriculum Word List than the EBS materials and CSATs do. Third,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with the BNC-COCA-25000 revealed that the vocabulary levels of the EBS materials and CASTs are much higher than those of the textbooks. Fourth, the result of comparison with the GSL-AWL showed that the percentage of the AWL in the reading passages of the textbooks did not exceed 10%. However, the percentage of AWL in the EBS materials and CSATs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e textbooks. The suggestions based on the abov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essential to include the word list of the CASTs in developing textbooks. Second, guidelines for topic distribution must be provided considering the learners’ grades and purposes of materials. Finally, it is needed to analyze topic distribution based on question types and various factors within topic distribu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분석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