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Globalization of Rice Cake Practice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샛별(Kim, Saet-Byeol) 채정현(Chae, Jung-Hy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4호, 303~336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2.28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등학교 가정과의 ‘떡의 세계화’ 실습 프로그램을 개발·실행·평가하여 효과를 살펴본 연구이다. 연구결과, 총 9차시의 실습 프로그램을 개발되었다. 그 내용은 우리나라 떡에 대해 알기, 백설기/절편/화전/경단 만들기, 떡의 세계화 수행평 가이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대구광역시 소재 인문계 고등학생 1학년 278명에게 2017 년 9월 20일부터 11월 6일까지 연구자가 직접 실행하였다. 수업의 효과는 2019년 1 월 2일부터 1월 8일까지 연구자가 개발한 온라인 설문지를 통해 평가하였다. 최종 수집된 102부의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떡의 가치에 대한 인식(4.25), 떡의 세계화 인식(4.22), 한식의 세계화 인식(4.18), 떡만들기에 대한 자신감(4.00), 한식 조리에 대한 자신감(3.72), 생활 자립 능력(3.90)이 향상되었다고 인식하였다. 개방형 질문에서 학생들은 이 수업을 통하여 창의적 표현능력이 향상되었고, 수업에 집중이 잘되었으며, 기회가 생기면 스스로 혹은 가족과 함께 창조적인 방법으로 떡만들기를 수행하고 싶다고 하였다. 이에 가정과에서는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떡의 세계화’ 실습 프로그램 외에도 한식의 가치와 우수성을 인식시키고 계승·발전시킬 수 있는 다양한 실습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the effects of developing, implementing and evaluating the Globalization of Rice cake practice programs applicable to Home Economics course. A total of nine practice programs were developed, and the researcher directly carried out the practice program towards 278 students of a high school located in Daegu Metropolitan City from September 20 th to November 6 th in 2017. We conducted a survey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actice program in January 2019. With 102 samples, it has shown that the awareness of the value of rice cake (4.25), the globalization of rice cake (4.22), and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4.18) were improved.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confidence in making rice cake (4.00) and cooking Korean cuisine (3.72) as well as self-sufficiency (3.90) were increased. Furthermore, students answered that the practice program made them have creative expression and focus more on the class. They wanted to make rick cake in a creative way with their family lat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variety of practice programs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o recognize the value and excellence of Korean food and to inherit and develop i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