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Parentification Experience of University Students on Academic Procrastination: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Self Efficac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유창호(Yu, Chang-Ho) 장석진(Chang, Seok-Ji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3호, 477~49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2.15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부모화 경험이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대학생의 부모화 경험과 학업지연행동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서울시 및 광역시에 위치한 4년제 대학교 재학 중인
대학생 340명이다.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과 Baron과 Kenny(1986)의 검증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유의성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화 돌봄은 학업지연행동,
자기효능감과의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부모화 불공평은 학업지연행 동과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효능감과 학업지연행동은 부적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
다. 둘째, 대학생의 부모화 불공평 경험과 학업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화라는 환경적 변인이 학업지연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새로운 결과를 제시하는 한편, 부모화 경험과 학업지연행동, 자기효능감 간의 구체적 관계성 및 경로를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업지연행동을 호소하는 대학생을 위한 상담 개입 방식이나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entification experience of university students on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fication experience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of university students. A total of 309 university students recruited from universities in Seoul and metropolitan citie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data were processed through SPSS and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Additionally Baron and Kenny’s (1986) method was implemented for proof of mediation effects followed by Sobel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arentification-caretaking had no relation with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self-efficacy. However, parentification-injustice positively correlated with academic procrastination, while self–efficacy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cademic procrastination. Parentification-injustic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lf-efficacy.
Second,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parentification-injustice on academic procrastination was partly mediated by self-efficacy. The current study has produced a new result that parentification is an significant environmental factor which impacts academic procrastin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ful for the counseling
interventions and the development of programs for parentified university students. The limitation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