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the Latent Profiles in Self-Esteem, Self-Efficacy, and Acceptance toward Disability of the Disabled to Life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연은모(Yeon, Eun Mo) 최효식(Choi, Hyosi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3호, 133~15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2.15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사람-중심적 접근방법인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하여 장애인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장애 수용이 개인 내에서 어떤 프로파일로 존재하는지 탐색하고, 프로파일에 기초한 잠재집단에 따라 생활만족도와 직무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그리고 장애인의 성별, 장애 정도, 혼인 상태에 따라 분류된 잠재집단에 포함되는 비율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장애인 고용패널 2차 웨이브 1차조사(2016년), 2차조사(2017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3,927
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장애 수용에 따른 잠재집단은 ‘낮은 수준의 심리적 안정 집단’, ‘평균 수준의 심리적 안정 집단’, ‘높은 수준의 심리적 안정 집단’의 세 유형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장애인의 성별, 장애 정도, 혼인 상태에 따라 잠재집단의 분포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여성, 중증 장애, 미혼 및 이혼 집단일 때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의 심리적 안정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잠재집단에
따라 생활만족도, 직무만족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생활만족도와 직무만족도 모두 ‘높은 수준의 심리적 안정 집단’이 ‘평균 수준의 심리적 안정 집단’과 ‘낮은 수준의 심리적 안정 집단’보다, ‘평균 수준의 심리적 안정 집단’이 ‘낮은 수준의
심리적 안정 집단’보다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장애인 집단의 심리적 안정감을 높이기 위한 상담 및 개입에 앞서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장애 수용을 통합적으로 확인한 후 이질적 특성에 기초한 개별화된 상담 및 개입이 필요함
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latent profiles based on self-esteem, self-efficacy, and acceptance toward disability of disabled learner-centered approach and to verify differences of their life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depends on the profile.
The study also focused on identifying characteristics of each latent classes based on gender, degree of disability, and marital status. We used the survey of 2016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2nd wave and extracted data of 3,927 adults with disabilities through the latent class analysis. Latent class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latent classes which best represent distinctively high life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patterns.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three different latent profiles for the disabled (i.e., low psychological stability group, average psychological stability group, and high psychological stability group). Second, gender, degree of disability, and marital status wer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characteristics of groups. Specifically, as disabled is women, as their disability is severe, and as disabled is unmarried or divorced they placed in low psychological stability group. Third, the latent means of life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The results can be helpful in developing intervention programs which focused on self-esteem, self-efficacy, and acceptance toward disability of the disabl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