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Appearance Frequency of Phonemes for Daily Life Speech Sounds of 6 to 8 Year Old Childre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신은영(Eun-Yeong Shin) 신수경(Su-Kyung Shin) 조수진(Soo-Jin Cho)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3호, 388~409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2.15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아동의 일상생활 말소리에 대한 음소의 출현빈도를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아동용 말지각 검사 개발 및 난청 아동의 재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6~8세 아동 12명을 대상으로 자연스러운 놀이상황 및 수업상
황에서 녹음한 자발화 자료와 동일한 연령대 아동들의 시청률이 높은 만화와 유튜브 조회수가 많은 영상 자료를 2017년 6월부터 12월까지 수집한 후, 소리 나는 대로 말소리를 전사하여 음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전체 음소의 수는 124,284개로
자음이 51.36%, 모음이 48.64%로 자음의 비율이 더 높았다. 둘째, 전체 자음의 수는 63,835개였으며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 음소는 /ㄴ/이었고, 출현빈도가 높은 상위 5개 음소의 출현빈도 합이 60.16%였다. 셋째, 전체 모음의 수는 60,449개로 그 중 /ㅏ
/(21.65%) 음소가 가장 많았고, 단모음 7개의 출현빈도 합이 이중모음보다 약 7.4배 높게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는 아동용 말지각 검사 개발 및 난청 아동의 재활을 위한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ppearance frequency of phonemes in daily life speech sounds of children aged 6 to 8 years and use it as basic data for children s speech perception test and rehabilitation of children with hearing loss. For this study, phoneme analysis was performed by collecting video material with high
viewer rating of comic and YouTube views and 6-8 year old children s spontaneous utterances recorded in natural play situation and class situation from June to December, 2017 and phonemes were analyzed by phoneme transcription as they sounded.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total number of phonemes analyzed was 124,284, with 51.36% of consonants and 48.64% of vowels, showing that the proportion of consonants was higher than vowels. Second, the total number of consonants was 63,835 the phoneme with the highest frequency was /ㄴ/, and the appearance frequency sum of the top five phonemes with high appearance frequency was 60.16%. Third, the total number of vowels was 60,449, of which /ㅏ/ was the largest with 21.65%. The sum of appearance frequencies of seven short vowels was 88.06%, which was about 7.4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diphthong vowels. It is thought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practical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speech perception test for children
and rehabilitation of children with hearing los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