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Analysis of Researches on Elementary School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Meta-Analysi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영근(Park Yungkeun) 백상수(Baek Sangsu)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3호, 735~75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2.15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장애인식개선 교육 연구의 전반적 효과와 각 조절변인에 따른 교육 효과의 크기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통합학급 비장애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장애인식개선 교육을 실시한 실험연구 36편 중 69개의 연
구를 선정하여 각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결과를 메타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장애인식개선 교육의 전반적인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장애인식개선 교육이 비장애 초등학생들의 장애인식개선에 매우 큰 효과를 지
니고 있었다. 학년에 있어서는 1-2학년, 3-4학년, 5-6학년 모두 큰 효과크기를 보여 주었으나 학년군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교육시간에 있어서는 정규수업 내에 실시한 경우와 정규 수업 외에서 실시한 경우 모두 큰 효과를 보여주었으나 그룹
간에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교육 수단별 평균 효과크기는 영상활용중심, 체험활동중심, 영상 및 체험을 포함한 통합형 교육에서 큰 효과를 보여주었고 강의 중심의 교육은 상대적으로 효과 크기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제공자에 따라서는 교
사와 연구자가 실시한 경우 모두 교육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두 집단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교육 환경에 따라서는 통합환경, 비 통합환경 모두에서 교육효과가 크게 나타났으나 효과 크기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장애인식개선 교육
의 실시 회귀에 따라서는 평균 효과 크기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장애인식개선 교육 참여 학생수에 따라서는 학생들의 수가 31명 이상인 집단이 30명 이하의 집단에 비해 효과크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종속변인에 따라서는, 정의
적, 행동적인 면에 미치는 효과크기가 모두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종속변인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결과에 따른 논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overall effect size of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for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nd the difference in effect size according to moderator variables. For the purpose of study,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of 69 research cases in 36 articles, implementing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for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 inclusive classroom.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showed a large effect size in general. In terms of the grade of participants,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proved to be the most effective for preschool students, followed in descending order by preschool, middle school, elementary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mean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time was effective in both regular and non-regular hours, al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 in effect size between them. With regard to the educational method, the mean effect size was greater for video-based education, education with disability simulation
activities, and education using both activities and videos than for lecture-based education. Both the researcher and teacher produced a high effect size, 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 of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mediator. In respect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both inclusive and non-inclusive classrooms had an large effect size
equally. The number of implementation periods showed no difference in effect size, while the mean effect size was higher for groups of 31 or more students than groups of 30 or less students. Lastly, in terms of dependent variables, the mean effect size was higher for emotional aspects than on behavioral aspects. The discus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limitation are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