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of a Career Resilience Enhancement Education Program for Unemployed Young man and testing its Effec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분희(Park, Bun-H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3호, 1347~136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2.15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미취업 청년들을 위한 진로탄력성 증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관련 선행연구와 요구조사를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목적과 내용 등을 추출하고, 전문가 집단의 타당화 절차를 거쳐 프로그램
을 개발하였다. 연구 대상은 전남 여성플라자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 미취업 청년 30명으로서 이 중 15명은 실험집단이며, 나머지는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진로탄력성 증진 교육프로그램은 2017년 12월 13일부터 2018년 1월 17
일까지 6주간 진행하였다. 진로탄력성 증진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진로탄력성과 진로준비행동을 측정하는 사전·사후 검사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진로탄력성 증진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진로탄력성과 진로 준비행동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진로 탄력성 증진 교육프로그램이 미취업 청년의 진로탄력성과 진로준비행동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적극적 구직활동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areer resilence education program for unemployed young people and validate its effects. The goal and contents of the program were extracted through the related prior study and demand survey analysis, and the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the process of validity of the expert group. The study
was conducted by 30 unemployed young man who are educated in the women s plaza in South Jeolla Province, 15 of whom were assigned to the treatment group, and the other 15 were assigned to the comparison group. The program for promoting career resilience was conducted for six weeks from December 13, 2017 to January 17, 2018. All
of the participants’ career resili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core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Research shows that the treatment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 program for enhancing career resilienc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career resili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an the comparison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education program for enhancing career resilience of unemployed young man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career resili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leading to active job searching.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