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Parenting Style, Ego-resilience, Sexual awareness toward Marriage of Nursing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홍주영 이소영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2호, 1283~129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1.31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부모양육태도, 자아탄력성, 성의식이 결혼관에 영
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2018년 3월 1일부터 31일까지
D시와 G시에 소재한 4개 대학 간호학과에서 구조화된 자가 보고형 설문지를 이용하
여 자료수집이 진행되었으며, 총 141명의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SPSS 21.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피어슨 상관관계, 다중회
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결혼관은 부모양육태도(r= .178,
p= .034), 자아탄력성(r= .421, p= .017)에 통계적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일반적
특성에서는 성별(t= .725, p= .047), 현 거주형태(F= .421, p= .047)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간호대학생의 결혼관에 대하여 파악하는 것은 결혼과 관련된 사고와 가치관
을 이해하여 올바르고 긍정적인 결혼관과 결혼생활을 위한 교육 자료를 제시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on the views of
marriage among the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41 students
majoring in nursing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based on the
significance level of 0.05. The degree on the views of marriage averaged 3.66± .238
point(5 scale), the parenting style averaged 3.21± .569(Mother) 3.14± .589 point(4
scale), ego-resilience averaged 3.56± .551point(5 scale), and sexual awareness 2.48±
.43 point(4 scale). The views of marriag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arenting
style(r=.219, =.004), ego-resilience(r= .421, p< .001). The factors influencing the
marriage of students majoring in nursing were gender(t= .725, p= .047), with state(F=
.421, p= .047)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23.0%. The undergraduate period is a
very important time to prepare for marriage and occupation. Therefore,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ensure that they have positive values about
marriage.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