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developing ecoliteracy scale for young children through the delphi method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임진경(Lim Jin Kyung) 허혜경(Huh Hae Gyeo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2호, 1~40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1.31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생태소양을 측정하기 위한 성인평정용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그 신뢰성과 타당성을 입증하는 것이다. 유아 생태소양 평정척도 검사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DeVellis(2012)가 제안한 척도 개발 방법론에 기반을 두었다. 문헌연구를 통해 검사도구의 예비문항을 작성하고, 델파이 기법을 통해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유아를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수행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신뢰도 검사와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행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 생태소양 평정척도 검사도구의 하위 영역은 생태적 태도 이론(Wiseman & Bogner, 2003)을 기초로 하여, 두 가지 차원의 8개 하위 영역-보전(자연의 권리, 지원 의도, 자원 보 호, 생태 감수성, 생태사회관계)과 활용(생태 개발, 자연 지배, 생태 위기 무관심)-으 로 구조화하였다. 최종 도출된 문항 개수는 전체 50문항, 역 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검사도구의 측정 형태와 양식 구성은 성인평정용, 5점 Likert 척도로 하였다. 본 연구로 개발된 도구를 유아의 생태소양 함양 및 지원을 위한 교육 기준 설정과 교육 전후의 교육 효과 평가 도구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develop a scale to measure ecoliteracy of young children in Korea, and prove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In order to develop an ecoliteracy scale for young children, a systematic and scientific steps were devised based on the methodology for development of scale proposed by DeVellis(2012). In order to conceptualize ecoliteracy, the concept of measurement was specified through the process of selecting constructs, their subcategories and details. In order to do so,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analyze previous studies by making use of meta-analysis. Preliminary questions for the scale were drawn up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the Delphi method was used to verify the CVR(content validity Ratio) and CV(coefficient of variation) in expert groups. A pilot test was carried out on young children, and the result was used to carry out a reliability test an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ceptualization of ecoliteracy helped to define ecoliteracy as an ability to
understand the organizational principles of the ecosystem and to apply these principles to real life for the purpose of building a sustainable human community and society. Constructs of ecoliteracy drawn from this concept included affect, ecological knowledge, socio-political knowledge, knowledge of environmental issues, knowledge of cognitive skills and environmentally responsible behaviors(ERB). The final number of the question items was 50 with 5 reverse score questions items. The type and form of measurement followed 5-point Likert scal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tool to set educational standards to cultivate and support ecoliteracy of young children as well as a means to assess the effects of ecoliteracy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