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nfluence of Aging Anxiety and Death Anxiety on Depression: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the Discrepancy between Subjective age and Actual age through Entrapmen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오은아(Oh Eun-A) 박기환(Park Kee-Hwa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2호, 483~50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1.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노화불안과 우울, 죽음불안과 우울의 관계에서 속박감을 통한 주관적 연령지각 불일치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했다. 이를 위해 40세부터 89세 사이의 성인 332명을 대상으로 2016년 9월 초부터 12월 초까지 약 3개월 동안 설문 조사를 실시했고, SPSS Macro를 사용해 자료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들 간의 상관분석 결과, 노화불안과 죽음불안은 속박감 및 우울과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주관적 연령지각 불일치와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노화불안, 죽음불안 및 우울의 관계에서 속박감의 매개효과를 주관적 연령지각 불일치가 조절하는지 검증해 보았다. 그 결과, 노화불안과 우울 사이에서 속박감의 부분매개효과를, 죽음불안과 우울 사이에서 속박감의 완전매개효과를 확인했고 각 모형에서 속박감의 매개효과가 주관적 연령지각 불일치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노화와 죽음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해 속박감을 높게 경험하는 사람들이 주관적 연령을 젊게 지각할수록 우울을 예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the discrepancy between subjective age and actual age through entrapmen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aging anxiety and depression, death anxiety and depression.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332 participants from 40 to 89 years of age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Macro to examine the research model(a moderated mediation mode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ging anxiety and death anxiety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ntrapment, depression and the discrepancy between subjective age and actual age. Second, entrapment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ging anxiety and depression, and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ath anxiety and depression. Third, the mediating effects of entrapment were moderated by the discrepancy between subjective age and actual age in relationships between aging anxiety and depression, death anxiety and depres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subjective age buffers the detrimental impact of entrapment on depression.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