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Self-perception of Writing and Writing Abilit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류보라(Ryu Bora)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2호, 397~41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1.31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국어교사의 쓰기 개념과 필자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고, 필자로서의 자기 인식과 쓰기 능력과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에 있다. 이 연구 문제를 탐구하기 위해 31명의 예비 국어교사를 대상으로 2017년 3월과 6월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예비 국어교사들은 쓰기의 개념을 필자의 사고 과정을 문자 언어로 나타내는 것이라고 인식하였고, 쓰기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필자로서의 자신에 대한 인식과 타인이 생각하는 필자로서의 자신에 대한 인식 수준은 보통 수준 이하로 나타났다. 국어교사와 예비 국어교사는 높은 수준의 쓰기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자신의 쓰기 능력은 그리 높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작문 지도 전문성 요건으로 지식, 능력 태도에서 중요한 정도를 4.4점, 4.4점, 4.3점이라고 인식하고 있으며, 자신의 능력 정도는 3.2점, 3.3점, 3.2점이라고 인식하였다. 논설문 쓰기 수준에 있어서는 국어교사에게 요구되는 수준을 4.4점, 자신의 쓰기 수준은 3.1점이라고 인식했으며 실제 논설문 쓰기 수준은 평가 기준별로 2.75~3.12점으로 나타났다. 필자로서의 자기 인식, 논설문 쓰기 수준에 대한 인식이 낮고, 실제 논설문 쓰기의 수준이 높지 않음에도 이 둘의 상관이 높지 않았다. 예비 국어교사들의 필자로서의 자신에 대한 인식과 쓰기 능력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지 않고 객관적인 쓰기 평가 결과에 기초하고 있지 않아 쓰기 능력과 쓰기 인식에 있어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 purpose is to investigate pre-Korean teacher s writing concept and self-perception of writer and find out the relation between self-perception of writer and writing ability. To search for this study s theme, I conducted a survey of 31 pre-Korean teachers in March and June 2017. The survey results showed pre-Korean teachers perceived that writing concept is to express writer s thinking process as literal language and they thought that about the importance of writing, it is very important and also writing s necessity is very important. They perceived that they are below medium level in self-perception as a writer and also below medium level in others perception as a writer about them. Korean teacher and pre-Korean teachers perceived that high-level writing ability is necessary but their writing ability level is not high. In requirement of teacher professionalism to teach writing, they perceived that the
importance of knowledge, ability and attitude is 4.4 point, 4.4 point, 4.3 point and their ability level is 3.2 point, 3.3 point, 3.2 point. In essay writing level, they perceived that the required level to Korean teachers is 4.4 point and their level is 3.1 point and their actual essay writing level is 2.75-3.12 point. Self-perception as a writer and perception
of essay writing level are low, actual essay writing level is not high and the co-relation between two is not high. In writing ability and writing perception, an improvement is necessary as pre-Korean teacher s self-perception of writer and perception of writing ability are not based on objective writing evaluation resul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