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Value Relevance of Operating Income and Adjusted Operating Income after Adoption of IFRS
- 발행기관
- 한국전산회계학회
- 저자명
- 최문수(Choi, Moon-Su) 정재원(Jeong, Jae-Won)
- 간행물 정보
- 『전산회계연구』제16권 제2호, 249~27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회계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포괄손익계산서에 공시된 영업이익과 주석에 공시된 조정영업이익의 기업가치 관련성의 상대적 중요성과 두 이익 차이의 영업이익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력을 검증하였으며, 검증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표본기업의 연결재무정보와 별도재무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영업이익과 조정영업이익의 기업가치 관련성의 상대적 중요성을 검증한 결과 기업가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포괄손익계산서에 공시된 영업이익과 조정영업이익 간에 연결과 별도재무정보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표본기업의 연결재무정보를 이용하여 조정영업이익과 영업이익의 차이가 영업이익에 추가적인 설명력을 가지는가를 검증한 결과 추가적 설명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별도재무정보를 이용하여 조정영업이익과 영업이익의 차이가 영업이익에 추가적인 설명력을 가지는가를 검증한 결과 추가적 설명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업이익과 조정영업이익의 기업가치 관련성의 상대적 중요성에는 차이가 없음과 조정영업이익과 영업이익의 차이가 영업이익에 추가적인 설명력이 없다는 실증적 증거는 조정영업이익을 주석으로 공시할 필요성이 없음을 시사한다. 이는 우리나라만이 도입한 조정영업이익의 주석공시 제도가 바람직하지 못함을 의미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value relevance of the operating profit disclosed in the statement of comprehensive income and the adjusted operating profit disclosed in the note and the additional explanatory power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operating profit and the adjusted operating profi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perating income of each sample and the adjusted operating income of the sample using the consolidated financial information and the separate financial information of the sample listed on the KOSPI marke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operating profit and the adjusted operating profit in both the consolidation and the separate financial information.
As a result of verifying wheth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adjusted operating profit and the operating profit has additional explanatory power on the operating profit using the consolidated financial information of the sample companies listed on the KOSPI marke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additional explanatory power. The fact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adjusted operating profit and the operating profit does not have any additional explanatory power suggests that it is not necessary to disclose the adjusted operating profit in the note. This implies that the annotation disclosure system of adjusted operating profit introduced only by Korea is not desirable.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의 검토 및 연구가설 설정
Ⅲ. 연구 설계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