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Role of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between Team Autonomy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 발행기관
- 한국전산회계학회
- 저자명
- 맹주태(Meng, Ju-Tae) 김원배(Kim, Won-Bae)
- 간행물 정보
- 『전산회계연구』제16권 제2호, 97~137쪽, 전체 41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회계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1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의 팀제의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는 팀자율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팀성과는 팀차원성과(팀효과성, 팀효율성)와 팀태도성과(직무만족, 조직 몰입)로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아울러 성과측정시스템(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이후 PMS)을 팀자율성과 팀성과 간에 매개요인으로 연구하고자 하며, 추가로 팀성과가 조직성과 (재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도 연구하고자 한다.
팀자율성은 PMS와 팀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팀성과 또한 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로 첫째, 기업의 성장을 위해 팀자율성의 확대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PMS의 팀자율성과 팀태도성과 간에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는 PMS를 통하여 팀성과를 더 개선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PMS가 팀자율성의 긍정적인 영향을 강화하고 부정적인 영향을 보완하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므로 PMS가 팀자율성과 팀성과 간의 강화요인임을 보여주고 있다. 즉, 팀자율성 강화 시 적절한 PMS설계가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셋째, 팀성과와 조직성과 간의 긍정적인 관계는 기업의 성과관리 차원에서 본 연구의 팀성과요인을 성과측정지표(PMI)로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임을 시사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eam autonomy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at maximizes the merits of the team system of SMEs.
Team performance was measured by team level performance (team effectiveness, team efficiency) and team attitude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ddition, the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PMS) was studied as a mediator between team autonomy and team performance. Finally, further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whether team performance affects organizational performance (financial performance).
Team autonomy positively affects PMS and team performance, and team performance also has an effe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First, as a result of the main research, it is suggested that the team autonomy should be expanded for the growth of the organization.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are mediating effects of PMS between team autonomy and team attitude performance. This indicates that the team performance can be further improved through PMS and that PMS plays a role in reinforcing the positive influence of team autonomy and complementing the negative influence. Thus, PMS shows that it is a strengthening factor between team autonomy and team performance. In other words, it is suggested that appropriate PMS design should be considered when strengthening team autonomy. Thir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eam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suggests that it is effective to use team performance factors of this study as performance measurement index (PMI) in terms of performance management of the organiz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검토 및 가설설정
Ⅲ. 연구 설계
Ⅳ. 실증 분석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