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Use Status and Subsidy Appropriateness of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 in SpeechLanguage Therapy for Disabled Children: Parental Survey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김재옥(Jaeock Kim) 김태우(Taewoo Kim) 이조영(Jo-Young Lee) 정경희(Kyunghee Jung)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3. no.4, 1127~114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0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발달재활서비스 지원금은 물가나 최저임금 등의 상승을 고려하지 않은 채 10여 년이 지난 현재까지 동일하게 유지되고 있어 질 높은 재활치료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발달재활서비스를 이용하는 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국내 발달재 활서비스 지원금에 대한 인식 및 발달재활서비스 이용 현황, 특히 언어치료서비스의 이용 현황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발달재활서비스를 이용하는 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발달재활서비스 지원금 인식, 발달재활서비스 이용 현황과 언어치료 발달재활서 비스 이용 현황에 관한 24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배부하고 성실하게 응답된 276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발달재활서비스 현황에서 현행 발달재활서비스 지원금이 적정하지 않다고 응답한 비율이 85%였고, 31-40만 원이 가장 적정한 지원금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발달재활서비스 이용기간이 길수록 적정하다고 인식하는 발달재활서비스 지원금의 액수가 높아졌다. 아동이 현재 발달재활서비스로 제공받는 치료의 개수는 2개가 가장 많았으며, 가장 필요하고 가장 많이 이용하는 치료 유형은 언어치료였다. 발달재 활서비스를 이용한 월평균 언어치료 횟수는 4회가 가장 많았으나 적정하다고 인식하는 언어치료 횟수는 8회가 가장 많았다. 발달재활 서비스 지원금 외 추가로 부담하는 자부담금은 응답자의 약 74%가 80,000원 이상을 지불한다고 하였다. 또한 응답자의 약 94%가 아동이 성인이 된 후에도 정부로부터의 치료지원금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논의 및 결론: 장애아동의 치료지원을 위해 마련된 발달재활서비 스는 현행 제공되는 지원금이 이용 아동의 부모들이 인식하기에 충분하지 않으며 지원금의 인상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subsidy of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 (voucher) has gone unchanged for more than 10 years without consideration of rising prices or minimum wages, and thus they do not provide high quality rehabilitation serv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the parents of disabled children using vouchers in regards to the use status and subsidy appropriateness of vouchers, in particular, vouchers for speech-language therapy (ST) services. Methods: A questionnaire consisted of 24 questions about the use status and subsidy appropriateness of vouchers and vouchers for ST was distributed to parents of disabled children who were currently using vouchers. Two hundred seventy-six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Results: Eighty-five percent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current subsidy of voucher was not appropriate, with the most frequent response being that KRW 310,000-400,000 would be the appropriate amount. Most children were receiving two types of therapy using vouchers, and the most commonly used type of therapy was ST. The number of ST sessions per month using vouchers was 4 times, however the number of ST session believed to be necessary was 8 times. Seventy-four percent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y paid more than KRW 80,000 in addition to voucher. Conclusion: The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 voucher has been provided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functioning of disabled children and alleviating the burden of their family, however there is not enough voucher support to achieve t purpose, an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amount of voucher subsidy.
목차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