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ntent Validity of the Swallowing Monitoring and Assessment Protocol for the Elderly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김향희(HyangHee Kim) 김가영(Ga-Young Kim) 이현정(Hyun-Joung Lee)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3. no.4, 1042~1054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0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삼킴기능은 나이가 듦에 따라 변화하므로, 삼킴의 어떠한 측면에서 노인들이 어려움을 겪는지를 구체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일부 삼킴 특색은 뇌졸중, 운동장애질환, 치매 등과 같은 노인성 질환과 연관되므로 삼킴장애의 조기 탐지가 진단및 중재에 도움이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개발 중에 있는 노년층 삼킴 평가 프로토콜의 문항들에 대한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 검증을 실시하여 평가도구의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방법: 국외에서 활발히 사용되고 있는 33개 삼킴 평가도구들의 문항 들을 세 가지 영역(삼킴기능 자가보고, 삼킴 관련 삶의 질 자가보고, 삼킴 임상평가)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총 78개 문항들로 내용타 당도 평가를 위한 설문지를 작성하여 10명의 언어재활사들(평균 연령 43.60±5.99세; 평균 임상경력 15.00±6.63년)에게 5점 리커트 척도로 응답하게 한 후, 그 결과를 바탕으로 내용타당도 지수(Content Validity Index, CVI)를 산정하였다. 이때, 내용타당성의 기준이 되는 절단점은 .75로 설정하였다. 결과: 절단점보다 높은 문항들로는, 삼킴기능 자가보고, 삼킴 관련 삶의 질의 자가보고, 삼킴 임상평가 영역들에서 각각 26개, 22개, 18개로 총 66개가 선정되었다. 논의 및 결론: 이들 문항들은 지역사회 거주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삼킴 기능 평가의 기초 문항으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되며, 삼킴장애로 야기될 수 있는 흡인성 폐렴, 체중 감소, 노인 노쇠(frailty) 등의 후유 증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토대가 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Since swallowing function changes with typical aging, it is important to elucidate the geriatric swallowing characteristics. Some swallowing features in the elderly may be related to geriatric diseases such as stroke, motor disorders, and dementia; in all of which early detection of swallowing problems can play a critical role in both diagnosis and intervention by utilizing a comprehensive evaluation tool.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stablish the content validity of evaluation items of the swallowing assessment protocol, which is under development. Methods: We trichotomized a total of 78 evaluation items from the ubiquitous swallowing assessment tools into three domains: self-report of swallowing function, self-report of swallowing-related quality-of-life, and clinical swallowing assessment. Ten speech-language pathologists (age, 43.60± 5.99 years; clinical experience period, 15.00 ± 6.63 years) responded to a 5-point Likert questionnaire to evaluate the content validity of the items. Based on these results, each Content Validity Index (CVI) was retrieved. The cut-off point of .75 was used as an indicator of items with good content validity. Results: The number of the evaluation items with the CVI exceeding the cut-off point of .75 were 66 in total, comprising 16 items regarding self-report of swallowing function, 22 of self-report regarding swallowing-related quality-of-life, and 18 regarding clinical swallowing assessment. Conclusion: These items are expected to be utilized for assessing the swallowing function of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By doing so, we may be able to detect and monitor dysphagia-related symptoms, often leading to aspiration pneumonia, weight loss, and/or elderly frailty.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