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Tongue Strength on Speech Production Skill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이영미(Youngmee Lee) 정필연(Pil Yeon Jeong) 성지은(Jee Eun Sung) 심현섭(Hyun Sub Sim)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3. no.4, 1017~1027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0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혀 강도가 뇌성마비 아동의 자음 산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뇌성마비 아동의 말 평가와 재활 계획 수립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검사 당시 연령이 5-15세인 뇌성마비 아동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아동의 조음위치 및 조음방법에 따른 자음정확도는 아동용 발음평가를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혀 강도는 Iowa Oral Performance Instrument (IOPI)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혀 강도를 기준으로 뇌성마비 아동을 중앙치 반분법에 따라 고집단(10명)과 저집단(10명)으로 나누어서 Mann-Whitney U-test를 실시한 결과, 모든 조음위치와 조음방법에서 고집단의 자음정확도가 저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전체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혀 강도, 조음위치 및 조음방법에서의 자음정확도 간의 상관계수의 범위는 .549-.680이었으며(all p < .01), 뇌성마비 아동의 혀 강도는 단어 수준에서의 자음정확도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변수로 나타났다(p < .05). 논의 및 결론: 혀 강도가 높은 뇌성마비 아동이 낮은 아동에 비해서 더 정확하게 자음을 산출할 수 있었으며, 뇌성마비 아동의 혀 강도는말 산출 능력을 예측할 수 있는 유의한 변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tongue strength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CP)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ongue strength and speech production skills at word level in children with CP. Methods: Twenty children with CP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ranged in age from 5 to 15 years. The children were median-split into two groups (children with higher tongue strength vs. children with lower tongue strength) based on maximal tongue strength. The maximal tongue strength was obtained using the Iowa Oral Performance Instrument. The speech production skills were measured using the Assessment of Phonology and Articulation for Children, and the percentage of consonants correct (PCC) of all children wa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place and manner of articulation. Results: Children with higher tongue strength obtained significantly higher PCC than children with lower tongue strength. The maximal tongue strength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CC of all places and manners of articulation (all p < .01).
Maximal tongue strength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speech production skills in children with CP. Conclusion: Children with higher tongue strength had significantly better speech production skills than children with lower tongue strength. Tongue strength was an important factor accounting for individual differences in speech production skills for children with CP. The results indicate that tongue strength may serve as a clinically critical index in predicting speech production skills in children with CP.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