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nnective Ending Awareness of Early School-Aged Children at Risk for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박지혜(Ji Hye Park) 김영태(Young Tae Kim) 연석정(Seok Jeong Yeon)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3. no.4, 879~889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0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구문능력이 정교화되고 문법인식이 지속적으로 발달하는 초등학교 저학년 단순언어장애 위험 아동과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연결어미 인식 능력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초등학교 1-3학년 단순언어장애 위험 아동, 생활연령과 성별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총 32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결어미 인식검사는 변환과제, 판단과제, 수정과제, 배열과제의 4개로 구성되었으 며, 각 과제에 대등적 연결어미와 종속적 연결어미를 동일한 수로 배치하였다. 연결어미 인식 능력을 집단과 과제 유형, 연결어미 유형에 따라 분석하였고, 집단별로 어휘력, 구문이해 및 구문산출능력의 상관을 분석하였다. 결과: 단순언어장애 위험 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연결어미 인식 능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연결어미 인식 능력은 표현어휘력 및 구문산출능력과 유의한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어휘력 지연을 보이는 단순언어장애 위험 아동도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같이 구문능력에서 어려움을 보인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연결어미 인식검사는 학령기 아동의 구문능력을 다양하게 평가할 수 있는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nective ending awareness of early school-aged children who understood primary Korean sentence structure and continuously develop grammatical awareness. Also, this study compares the ability between children at risk for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Methods: Thirty-two 1st–3rd grade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16 children at risk for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AR-SLI group) and 16 age- and gender-matche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D group). The connective ending awareness test consisted of four tasks (change, judgement, correction, word-order), and in each task the same number of coordinate and subordinate endings were assigned. The connective ending awareness test was analyzed by using a three-way mixed ANOVA according to the group, task type, and connective ending type. Also, the correlation among connective ending awareness, vocabulary, syntactic comprehension ability, and syntactic production ability were analyzed using 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It is showed that connective ending awareness has a significant main effect of groups, task types, and connective ending types; and that the AR-SLI group showed lower ability than the TD group. The connective ending awareness of the AR-SLI group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xpressive vocabulary and syntactic production ability.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AR-SLI group with delayed vocabulary, similar to SLI, showed difficulty in syntactic ability. In addition, the connective ending awareness test can be used as a tool to evaluate the syntactic abilities of school-aged children.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