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the Correlation among Self-efficacy, Health Promotion, Subjective Well-being in senior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원정(Chung-won Ch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호, 779~79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1.15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신체활동과 관련된 노화의 진행과 발생을 감소 관련변인으로써 자아효능감, 건강증진행위, 주관적안녕감과의 관계를 탐색하여 노년기의 건강생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와 강원도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신체활동참여 노인 242명이며 설문조사자는 보조연구원과 시력문제로 응답이 어려운 참여자들에게 각 설문문항을 읽어주고 응답을 표시하는 방식으로 실시되었다.
회수된 254부의 응답을 최종적으로 242부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가설검증결과 신체 활동 참여노인의 자아효능감은 건강증진행위과 정적인 관계가 나타났다. 건강증진 행위도 주관적안녕감에 정적인 관계가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효능감도 주관적안녕감에 정적인 관계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결과가 나타났다.
세 변인간 경로계수의 간접효과는 .140이며 자아효능감이 건강증진행위에 .542, 건강 증진행위가 주관적안녕감에는 .259로 효과를 보였다. 측정모형의 적합도와 가설검증 과정을 통하여 신체활동 참여노인의 자아효능감이 높아지면 건강증진행위를 시도하는 성향이 정적으로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건강증진행위의 시도가 높아지면 주관 적안녕감도 정적으로 높아졌으며 자아효능감의 증가에 따른 주관적안녕감의 증가의 효과도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was analysis to provide basic data for health life in old age by
exploring relationships with self-efficacy, health promo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as variables related to reducing the progress and generation of aging in physical activity. A total of subjects are 242 female and male were. Through the measurement model fit and the hypothesis analysis processing showed that self-efficacy in the senior participating in physical activities was increased health promotion significantly. Health promotion was increased subjective well-being significantly. Self-efficacy was increased subjective well-being. Results have been shown effective of the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was increased for the senior health managing and promo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