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Depression, Perceived Stress, Life Expectation, and Life Satisfaction on Quality of Life among Nursing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손해경(Hae Kyoung, Son) 김명숙(Myoungsuk,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호, 317~33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1.15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우울, 지각된 스트레스, 삶의 기대, 삶의 만족과 삶의 질의 수준 및 상관관계,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횡단면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연구는 서울 소재의 일개 대학에 재학 중인 88명의 간호대학생을 편의표집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7년 12월 11일부터 12월 15일까지 일반적 특성, 우울, 지각된 스트레 스, 삶의 기대, 삶의 만족과 삶의 질에 대해 구조화된 자가보고형 설문지를 활용하였 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피어슨 상관분 석, 다중 회귀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간호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 삶의 만족이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간호 교과과정 가운데 간호대학생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을 고려할 것을 제언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depression, perceived stress, life expectation and life satisfaction on quality of life among nursing students.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a cross sectional study design. A convenient sample was comprised 88 nursing students in one University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tructured self-reported questionnaires regrading demographics, depression, perceived stress, life expectation, life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from December 11 to December 15, 2017.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WIN 22.0 program. In result, perceived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of quality of life. In conclusion, this finding offers the fundamental knowledge concerning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rograms for improving quality of life of nursing studen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