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Comparative Study on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 between Korea and China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향란(Jin, Xiangla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호, 817~83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1.15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초등학교 교과 외 활동 교육과정의 비교를 통하여 교육 과정 개발에 있어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문헌연구의 방식으로 한국의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과 중국의 초등학교 종합실천활동의 변천 과정을 살펴보고 한국의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과 중국의 2017년에 고시한 中小學綜合實踐活動指導綱要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양국 교과 외 활동 교육과정의 성격, 교육목표, 활동영역, 편성⦁운영 및 평가 등 교육과정 요소에 대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교과와 상호보완관계에 있는 창의적 체험활동과 종합실천활동은 각 교육과정 요소에서 모두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창의적 체험활동과 종합실천활동은 활동 영역의 설정, 활동 주제의 선정 방식, 기준 수업시수의 배정, 평가 대상 등 부분에서는 차이점들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양국의 교과 외 활동 교육과정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기초로 교과 외 활동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었다. 교과 외 활동 교육과정에 통합 활동영역을 신설 하고, 평가체제를 강화하고, 교외 자원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 for the further curriculum revision through comparing on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 between Korea and China.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the literature analysis to inquire the developing process and curriculum components of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in Korea and comprehensive practical activities in China. This study collected curricular documents such as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in 2015 revision curriculum in Korea and guidance outline of comprehensive practical activities course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in China. There are some common features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between Korea and China such as curriculum character, purpose of education, activity area,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At the same time, the study explored the differences in the setting the activity area, selection of activity topics, class time assignment, subject of evaluation between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in Korea and comprehensive practical activities in China.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suggested that extra-curricular activities should be established integrate activity area, strengthened the evaluation system, and made full use of external resources.
목차
Ⅰ. 서 론
Ⅱ. 한국과 중국의 초등학교 교과 외 활동 교육과정 변천
Ⅲ. 한국과 중국 초등학교 교과 외 활동 교육과정 비교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