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mprovements for the problems of teaching writing process‘ in Elementary school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구세민(Ku se-mi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호, 201~21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1.15

국문 초록
쓰기 과정에 대한 인식은 쓰기 국면에서의 전략 사용과 조절에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효과적인 쓰기 능력 신장을 위해서는 쓰기 과정에 대한 탐색과 발견에 대한 학습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쓰기 과정 지도의 실태 분석을 통해 쓰기의 과정을 가르치는 장면에서 드러나는 여러 문제점들을 첫째, 쓰기 ‘과정’에 대한 성찰이 없다는 점, 둘째, 계획하기와 고쳐 쓰기 지도의 누락, 셋째, 쓰기의 과정을 선조적, 분절적으로 이해하도록 할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는 점, 넷째, 쓰기의 사고 과정을 단순화, 고정화하여 제시하고 있다는 점으로 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쓰기 과정에 대한 인식과 인지적 조정 및 자기 점검, 학생 동료/전문 필자와의 상호작용을 지도의 주안점으로 삼아 바람직한 쓰기 과정 지도의 단계와 방안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Recognition of the writing process is very important for the use and control of strategy. In order to increase effective writing ability, recognition and discovery of writing process should be given prior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blems in the teaching of writing process and to discuss the educational improvements of writing process instruction.
Analysis of curriculum and textbook revealed some problems in the course of writing process. First, there is no reflection on the writing process. Second, the lack of planning and rewriting instruction. Third, there is the danger of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writing linearly and segmentally. And the fourth, it suggests that the thinking process of writing is simplified and fixed.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s,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recognition of the writing process, the cognitive adjustment and self-checking,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tudent colleagues. and it is also necessary for students to interact with professional writers. This study suggests the steps of the desirable writing process guidance and its method based on these points.
목차
Ⅰ. 서론
Ⅱ. 쓰기 과정 지도의 실태
Ⅲ. 쓰기 과정 지도 방안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