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lationship Analysis of Sea Level–Rainfall for Determination of Disaster Prevention Performance in Coastal Citie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박윤경(Park, Yoonkyung) 김상단(Kim, Sangdan) 이정호(Lee, Jung Ho) 송양호(Song, Yang Ho)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18권7호, 469~474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0

국문 초록
연안도시 지역은 강우와 더불어 해수면 상승이라는 복합적인 재해발생 요인을 부담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지역별 방재성능목표 설정․운영 지침에서 다루고 있는 강우의 크기 변화만을 다루고 있는 면과 달리 복합원인으로 발생하는 연안도시의 지역적 특성을 반영함으로서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연안도시 지역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해수면 상승을 고려한 방재성능 목표 강우량 기준의 개선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로 인해 상승이 예상되는 해수위와 강우간의 관계 분석을 바탕으로 침수를 유발하는 해수면-강우 관계곡선을 제안하였다. 과거 해안침수가 발생했던 부산 센텀시티 지구를 토대로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위-강우 상승을 고려한 총 126개의 시나리오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강우 지속시간에 상관없이 강우량 증가보다는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침수발생 규모가 더 클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기후변화로 인한 강우의 크기 변화만을 고려하는 기존의 지침이 복합 재해로부터 노출된 연안도시의 방재 성능을 적절히 반영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Coastal cities are burdened by complex causes of disasters, including rising sea level and rainfall. In setting the disaster prevention performance for different regions, the existing disaster management guidelines take only rainfall into account. The incorporation of regional characteristics of coastal cities involving complex factors is needed in order to improve the disaster response. It is important to improve the standards of target rainfall for disaster prevention performance that take sea level rise into account to effectively address the limitations of coastal cities. This study conducted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rainfall and sea level, which is expected to rise due to climate change. Based on the analysis, a sea level-rainfall rating curve was suggested, which takes into account the cause of inundation, namely sea level. We analyzed a total of 126 scenarios considering the sea level-rainfall rise caused by climate change in the Centum City district in Busan, which previously suffered from costal floods. The analysis identified that flood incidents were largely affected by the sea level rise compared with increased rainfall regardless of the duration of rainfall.
Based on th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 existing guidelines, which only consider varying volumes of rainfall due to climate change, do not properly reflect the disaster prevention performance of coastal cities that are exposed to complex disasters.
목차
1. 서 론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