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erimental Study on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and Human Hazard of Flame-retardant Plywood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서현정(Seo, Hyun Jeong) 김남균(Kim, Nam Kyun) 김보연(Kim, Bo Yeon) 이민철(Lee, Min Chul)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18권7호, 233~241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0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국내 건축물에서 사용되고 있는 목재 및 목질재료 중 합판의 방염 및 난연 성능 향상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약제는 붕소, 인, 암모늄 계열의 화학종을 혼합하여 제조하였고, 제조된 약제는 기존 목재방부처리 기준을 준용하여 합판제작 시 처리되었다. 성능 향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방염성능기준, 콘 칼로리미터 시험, 가스유해성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해 재료 표면의 연소 후 조직특성에 대해 확인하였다. 성능시험 결과를 확인하였을 때, 방염처리 합판 시험편은 무처리 합판 시험편에 약 50%의 화재 안전성 향상을 보여주었다. 또한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해 연소 후 방염처리 시험편의 표면에 form 형태의 char가 발생하였음을 확인하였으며, 가스유해성 평가 시험결과 실험용 쥐의 평균행동정지시간이 7분 이상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목재 및 목질재료용 방염액의 개발 및 향후 건물 실내 적용 시 화재 안전성을 확보하고 인체 유해성을 감소하는 데 목적이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mprove the flame-retardant performance of plywood for wood and woody materials used in buildings. The flame retardant used in this study was prepared by mixing boron, phosphorus, and ammonium species, and the prepared chemical composites were treated at the time of plywood production using the conventional wood-preservative treatment standard. Test results confirmed that the flame-retardant-treated plywood test specimens exhibited a fire safety improvement of about 50% compared with the untreated plywood test specimen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at a form of char was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flame-retardant-treated test specimen after combustion, and the results of the gas harmfulness evaluation showed that the average behavior downtime in a laboratory rat was more than 7 mi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flame retardancy in wood and wood materials, for fire safety and to reduce human hazard in the future.
목차
1. 서 론
2. 실험재료 및 실험 방법
3. 실험 결과 및 고찰
4.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