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Responses and Safety Accidents to Safe Housing Environment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김진수(Kim, Jin-Soo)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18권7호, 9~19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공동주택의 안전한 주거환경에 대한 지각의 효과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환경심리학을 기반으로 하여 안전한 주거환경에 대한 지각과 안전사고 불안감과 안전문화 인식, 안전사고 경험 간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분석을 위한 자료 수집은 아파트 단지와 주택의 안전시설에 대한 지각과 안전사고 불안감, 안전문화 인식, 안전사고 경험에 관한 설문지를 바탕으로 아파트 거주자 449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안전한 주거환경은 안전사고 불안감을 감소시키고 안전문화 인식을 높이며, 안전사고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안전사고 불안감과 안전문화 인식은 안전사고 발생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생활안전사고 감소를 위한 주거환경 조성방안과 거주민의 안전의식 고취를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perception on the safe residential environment of apartment complexes. According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safe residential environments and safety anxiety, safety culture perception, and safety accident experience based on environmental psychology was clarified. The analyzed data were collected from 449 residents of apartments based on questionnaires on the perception of apartment complexes, housing safety facilities, safety anxiety, safety culture perception, and safety accident experience. First, it was found that a safe residential environment reduces safety anxiety, increases safety culture awareness, and reduces safety accidents. Second, safety anxiety and safety culture perception were found to reduce safety accidents.
From these results, we propose a plan to create a residential environment for the reduction of safety accidents and a plan to enhance the safety consciousness of residents.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설계
4. 가설검증
5.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