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Brand Identity Design Evaluation Using EEG Measurement)
- 발행기관
-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 저자명
- 한유림(Yu-Rim Han) 김다솔(Da-Sol Kim) 한지애(Ji-Ae Han) 류시천(Ji-Ae Han)
- 간행물 정보
- 『스마트미디어저널』Vol7, No.4, 101~108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컴퓨터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1

국문 초록
브랜드 아이덴티티(Brand Identity)는 기업의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들의 심리적 인지활동에 영향을 주는 핵심 자산이
다. BI 디자인 개발의 초기 기획 단계에는 기업 고유의 차별화된 접근 전략이 요구되고, 더불어 마지막 BI 디자인 평가단계에서는 잠재 소비자들을 활용한 합리적인 디자인 평가 방법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전통적인 BI 디자인 평가 과정은 대다수가 설문조사에 의존함으로써 해당 과정에서 발생하는 피험자들의 ‘왜곡된 심리 표출 현상’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연구는 다수의 BI 디자인 시안에 대한 우선순위의 선호도 조사 방식에 덧붙여, 피험자의 뇌파측정 데이터를 활용하는 방식이 BI 디자인 평가 과정에 도움이 될 수 있는지 여부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피험자 선호도 조사 결과와 피험자뇌파측정 데이터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매력성’과 ‘집중도’를 변수로 활용하였다. 그 결과, ‘매력성’에 관한선호도 조사 결과와 ‘집중도’에 대한 뇌파 측정 결과의 상관관계가 높음이 파악되었다. 따라서 기존의 전통적인 정성적 평가방식에 덧붙여 뇌파를 활용한 디자인 평가 방법이 BI 디자인과 같은 암묵적 지식 대상을 평가하는데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Brand identity (BI) is a key asset that affects consumers psychological cognition of products and services. In
the initial planning stage of the BI design development for a company, a unique approach strategy is required. In
the final evaluation stage, a reasonable design evaluation method involving potential consumers needs to be
prepared. However, conventional brand identity design evaluation processes tend to depend on the results of
surveys, and in many cases it is impossible to be free from the distorting phenomenon of survey respondents’
psychological manifestation which is often revealed in the process of the surveys.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has
explored whether the method of utilizing EEG data of the subjects along with the conventional survey method of
preference could be helpful in the process of evaluating the brand identity design. To achieve that, we correlated
the subject s preference survey results with the subject’s EEG data. Attractiveness and concentration were used
as variabl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results of preference survey
on attractiveness and the results of EEG on concentration . Therefore, in addition to the existing conventional
qualitative evaluation methods, we confirmed that design evaluation methods using EEG are useful for evaluating
tacit knowledge objects such as the BI design.
목차
Ⅰ. 연구목적
Ⅱ. 연구방법
Ⅲ. 뇌파분석 및 선호도 조사 결과
Ⅳ. 뇌파 분석 결과와 선호도 조사 결과의 상관관계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