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Advertising Graphics Using the Mythological Verbalization and Image Arrangements of Photographs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최치권(Choi Chi Kwon) 두경일(Doo Kyung Ill)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3, No. 3(통권 9권), 188~198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1

국문 초록
기술의 발달과 매체가 새롭게 생산되면서 대중은 일상의 거의 모든 곳에서 광고와 마주한다. 형식과 내용으로 구성되는 광고는 매체에 표현 가능한 형식도 중요하지만 광고가 목적으로 하는 반드시 전달해야하는 개념이자 메시지인 내용도 중요하다. 내용을 담기 위한 형식도 함께 창조하며 소비자가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는 이미지의 구도나 형식미를 바꾸기도 한다. 본 연구는 사진으로 할 수 있는 신화적 기호의 특성과 배열의 프레임 효과로 광고에 사용되는 임펙트 있는 시각언어인 그래픽의 변화를 제안하는 것이다. 사진으로 할 수 있는 프레임 안의 상징적 이미지 구성과 사진과 사진 간의 프레임 배열로 생산되는 광고 커뮤니케이션의 효과를 깊이의 개념으로 확장하는 것들로 광고그래픽의 확장성을 높인다. 이를 위한 광고그래픽의 확장은 단순한 사물을 나열하는 양적의 확장이 아닌 소비자의 다양하고 적극적인 정보활동을 높이는 압축의 확장을 말한다. 이렇게 만들어지는 광고그래픽이미지는 멀티미디어 광고가 가지고 있는 네러티브 효과를 인쇄용 광고답게 표현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People in general are exposed to ads in almost every area of daily life owing to the advancement of technologies and the production of new medias. An advertisement is composed of form and content. The form that can be represented through media is important, and the content also is critical, which is the concept and message that must be conveyed as the goal of the ad. The form that carries the content are created as well, and the composition of the images or the beauty of the form is sometimes changed to provide consumers with new exper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change of graphics. Graphics are a visual language with impact that is used in ads thanks to the frame effects of the characteristics and arrangements of the mythological signs that could be produced using photographs. That is to extend the effects of advertising communication in depth, which are produced through the symbolic composition of images in the given frame and the frame arrangements of different photographs that could be done using photographs. It contributes to increasing the extendability of advertising graphics. The extension of advertising graphics here refers to an extension of condensation to boost the diverse and active information activities of consumers, not an extension of quantity to merely enumerate things. Advertising graphic images that are created in this way are expected to play up the narrative effects of multimedia advertising in a manner to be suitable for print ads.
목차
Abstract
요약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광고의 그래픽의 신화화와 깊이의 체계
4. 광고그래픽의 신화화와 프레임 배열 활용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