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Barriers and Development Strategic for TKR(Trans Korean Railway) using in-depth interview Method
- 발행기관
- 한국물류학회
- 저자명
- 오가영(Oh, Ka Young) 이재은(Lee, Jae Eun)
- 간행물 정보
- 『물류학회지』제28권 제6호, 99~109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남북철도가 연결될 경우, 실무적 측면에서 이용할 가능성이 큰 집단인 복합운송업체와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전문가 집단(관세법인)을 대상으로 비구조화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는 대부분의 복합운송업체들이 남북철도에 의한 물자 운송을 경험해 보지 못했기 때문에 전문가와 TSR 혹은 TCR을 이용해 본 집단을 중심으로 인터뷰조사를 통해 전략적 개선방안을 도출하였 다. 먼저 남북철도 연결에 긍정적인 답변을 한 복합운송업체의 경우, 남북철도 연결의 선결 과제로 표준화된 관세행정을 제안하였 으며, 향후 남북철도의 연결은 한국이 동북아 물류 허브 국가로 발전하는데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반면 부정적으로 응답한 복합운송업체들은 북한의 정치적 상황을 위험요인으로 꼽았다.
나아가 남북철도 연결이 물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모든 업체들은 운송거리 및 시간의 단축에 의한 기대효과를 가장 우선시 하는 반면 북한의 정치적 위험 및 운영상의 우려가 먼저 선행되어야 할 과제라고 응답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 the strategic direction of TKR(Trans Korea Railway) using a in-depth interview which is targeting forwarding agents.
The results show that forwarding agents expect the comparative advantages consist of cost and time.
In addition, the political stability of North Korea is main issue for perform the TKR and tariff system and transshipment also are main subjects. This study can shows the two aspects such as practical and academic matters. In academical aspects. the main factors have an effect on use of TKR. In practical aspects, we could show the strategic direction for TKR as follows; first, continuous tariff system targeting various nations second, bonded warehouse operation third, transshipment system.
목차
Ⅰ. 서 론
Ⅱ. 문헌연구
Ⅲ. 연구방법 및 설계
Ⅳ. 분석결과
Ⅴ. 전략적 대안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