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the Effectiveness of University Classes Using Hologram Learning Material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현준(Choi, Hyunjun) 김누리(Kim, Noor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24호, 603~62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가장 진보된 실감형 학습자료인 홀로그램을 이용한 대학 수업에서 학습자의 학습몰입,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홀로그램을 활용한 수업의 경우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
은 J지역 M대학의 디지털공학 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학생 58명으로 이들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실험집단에는 홀로그램 학습자료를 제공하였고 통제집단에는 홀로그램을 찍은 사진자료를 제공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의 학습 몰입,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의 평균이 통제집단 보다 높았고, 학습몰입, 학습만족도는 그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또한 홀로그램 학습자료를 제공한 집단에서의 현존감, 사용성 태도, 학업성취도는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지만 학습몰입, 학습만족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사용성 태도는 모든 변인에 긍정적이고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홀로그램 학습자료를 제공한 집단에서 현존감과 사용성 태도는 학습몰입,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대학생의 효과적인 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전략과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learners learning flow, learning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in hologram, which is a representative mixed reality learning material. The sample of this study were 58 students who were taking digital engineering classes at M university in J district and classified them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experiment group provided hologram learning materials and the control group provided hologram photographs. As a result, the mean of learning flow, learning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nd the difference between learning
flow and learning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In addit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sense of presence and the achievement in the group that provided the hologram learning materials, but not the learning flow and the learning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usability attitud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variables. Finally, in the group that provided the hologram learning materials, the existing sense and usability attitude were found to affect learning flow,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uggestions of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and research for effective teaching of
university students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