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Text Construction for Learner-Centered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Histor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소영(Choi Soyo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24호, 665~68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의 국어사 교육을 ‘텍스트’를 통하여 구체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등 교육과정을 모두 마친 직후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지와 경험기술지를 수집하여 분석하였고,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국어사 교육에서 학습자 중심의 의미는 학습자 관점에서 더욱 모색되어야 하며, 학습량과 난이도 차원의 접근이 아닌 텍스트의 태도 교육 내용 강화로 실현되어야 한다. 즉, 메타 텍스트・서술 텍스트・활동 텍스트의 유기적 연계 속에서, 태도를 직접 표상하는 설득적 텍스트로서의 성격을 강화하고, 태도의 간접 표상은 국어사 지식의 현재적 맥락을 서술함으로써 이루어져야 한다. 활동 텍스트는 태도를 표상하거나 지식을 탐구하는 학습자의 능동성을 이끌어내도록 하는 것이 학습자 중심에 가깝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designed to refine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based on learner-centered through the educational text. It was suggested that the meaning of learner-centered in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should be sought more from a learner s perspective and realized by strengthening the content of text-based attitude
education, not by the amount of learning and difficulty level approach. In other words, attitude should be expressed directly or indirectly within the closely connected links of meta-text, descriptive-text and activity-text. In particular, it is argued that the persuasive text should be strengthened to take a more proactive view of direct representations of attitudes that have been somewhat neglected before. It was suggested that the indirect expression of attitude by describing the present-day context of knowledge about Korean language history could also be a significant experience for learners. The activity-text was judged to be more of the learner s focus, allowing him to represent attitude or lead the learner s activism in exploring knowledge.
목차
Ⅰ. 서 론
Ⅱ. 국어사 교육에서 학습자 중심의 의미와 실현
Ⅲ.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