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Relational Aggression of Adolesc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명화(Choi, Myoung-hwa) 주영아(Ju, Young-a)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24호, 1009~102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1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거부민감성이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알아보고, 그 과정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매개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2017년 4월부터 5월까지 경기와 인천 지역 중학생 307명, 고등학생 226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SPSS와 AMOS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첫째, 거부민감성이 높을수록 관계적 공격성이 높게 나타났는데, 거부민 감성이 높을 때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사용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관계적 공격성도 높게 나타났다. 둘째, 거부민감성과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모두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청소년의 심리적 문제인 거부민감성이 행동적 문제인 관계적 공격성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적절하고 효과적인 개입 방법의 이론적 근거를 제공함으로써 청소년의 상담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on adolescents relational aggression and to verify if the rejection sensitivity is mediated by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in the process of affecting relational aggression. For this purpose, 307 middle school students and 226 high school students in 2 middle schools and and 2 high schools in Gyeonggi area. SPSS and Mplus were utilized for statistical analysis. As a result, First, it was found that those who had higher rejection sensitivity showed higher relational aggression. Additionally, as
rejection sensitivity became higher, they had higher anxiety and anger. Accordingly they used more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than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which in turn increased their relational aggress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was significant in both of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In other words, relational aggression tended to increase when rejection sensitivity was activated in the situation when youths could expect rejection. The effect became smaller when more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were used, while the effect became bigger when more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were used.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implications regarding counseling practice of clients and parents education, limitations and proposals for further research.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