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Group Counselling Program Using MBTI and Holland on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숙영(Lee, Sook-Young) 조규판(Cho, Gyu-Pa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24호, 427~44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1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MBTI와 Holland를 활용한 집단상담이 대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B광역시에 위치한 대학교 학생 12명을 선정하여 6명은 실험집단에 나머지 6명은 통제집단
에 배치하였다.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연구자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MBTI와 Holland를 활용하여 재구성하였으며,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은 통제 집단에 비해 진로정체감 전체와 진로준비, 자기이해의 영역에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전체와 목표선택, 직업정보, 미래계획의 영역에서 유의미한 효과를 보인 반면, 문제해결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진로정체감이 낮더라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높으면 확실하지 않은 가운데서도 자신의 성공가능성을 믿고 진로의사결정을 성공적으로 해낼 수 있는 힘이 있다고 추론할 수 있기에 더욱 의미 있는 결과라고 여겨진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group counselling program using MBTI and Holland on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twelve students from a university in B metropolitan city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six students were plac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six students were placed to the control group. The group counselling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literatures about MBTI and Holland by the researcher. The group counselling program made up eight sessions was operated to the experimental group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no meaningful effect on the total score of career identity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the subordinate factors of career identity such as self-understanding and career preparations showed no meaningful difference. Secondly, on the other han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total score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e subordinate factor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uch as goal selection, occupational information, and future plan showed the meaningful difference while a problem-solving factor did not.
Based on the findings as above,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more expressive outcome. Even if the career identity is low, the hig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n be inferred that there is a power to succeed in career decision making by believing in the possibility of his/her own succes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