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father’s posivive parenting attitude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on adolescent’s internalizing and ed․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소난영(Nahn Young, Soh) 박성희(Sung Hee, Par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24호, 105~13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한 아버지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7년 5월과 6월에 서울시 소재 3곳에 재학 중인 중학생 388명(남학생 206,
여학생 182)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자료분석은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아버지의 긍정적 양육태도는 자아탄력성과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 행동에 각각 직접효과가 있었고, 자아탄력성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아버지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자아탄력성은 각각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탄력성은 아버지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에 간접효과가 있었고, 자아 탄력성은 아버지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관계를 각각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ego-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 father’s positive parenting attitude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adolescent problem behaviors. To do this, we surveyed 388 middle school students (206 boys and 182 girls) who attended
three places in Seoul in May and June of 2017 and analyzed the data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As a result, First, father s positive parenting attitude had a direct effect on ego - resilience,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 and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ego - resilience. However, father s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ego - resilience were found to have negative effects on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respectively. Second, ego-resilience has an indirect effects on a father’s positive parenting attitude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Ego-resilience mediated the relationship among a father’s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internalizing a 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 - up study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