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visual thinking strategy-based art appreciation activity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백승선(Baek, SeungSeon) 정설희(Jeong, SeolH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24호, 481~51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시각적 사고전략에 기초한 명화감상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그리기표상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만 5세 유아 42명을 대상으로 2018년 3월 3째 주부터 6월 4째 주까지 총 15주에 걸쳐 전체 연구를 수행하였
으며 이 중 8주간 주 2회씩 총 16회의 실험처치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시각적 사고전략에 기초한 명화감상활동을 처치하고, 비교집단에는 미적요소에 기초한 명화 감상활동을 실시하였다.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유아용 ‘창의성 검사도구’와 ‘그리기 표상능력 검사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고자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시각적 사고전략에 기초한 명화감상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창의성과 그리기표상능력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또한 하위요인에 있어서도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만 5세 유아의 창의적 사고력과 그리기표상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체와 방법으로 명화감상 활용의 가능성과 시각적
사고전략의 의의에 대하여 논하였다.
영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visual thinking strategy-based art appreciation activity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For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with 42 5-year-old children for the 15-week period from the third week of March to the fourth week of June, 2018. For 8 weeks during the period, 16 sessions of experiment (twice a week) were conducted. Children in the experiment group carried out visual thinking strategy-based art appreciation activity, whereas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carried out aesthetic
element-based art appreciation activity. In order to test the effect of research, this study used ‘Creativity Test Tool’ for young children and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Scale.’ In order to analyze collected data, ANCOVA was conducted.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Children in the experiment group who carried out the visual thinking
strategy-based art appreciation activity presen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creativity and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than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did. In the sub-variables, children in the experiment group presen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an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di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opportunities for 5-year-old children to promote their creativity and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by visual thinking strategy with art appreciation activit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