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search Trend in North Korean Migrant Student Educ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혜랑(Park Hyera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24호, 641~66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1

국문 초록
2000년대 이후 가족단위 탈북의 증가와 함께 국내 학교 재학 탈북청소년의 수 도 점점 증가하고 있지만, 탈북청소년들은 아직도 학교생활을 해 나가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탈북청소년의 교육관련 연구는 학업성취 등 일부 주제에 편중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관련 연구의 추이와 동향 파악은 향후 탈북청소년교육관련 연구의 방향 설정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탈북청소년교육 관련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그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탈북청소년교육의 연구주제는 ‘학교’와 ‘학습’이 전체 연구의 절반 이상 차지하고 있었으며, 연구방법으로는 질적연구 방법의 비중이 양적연구보다 압도적으로 높았다. 탈북청소년교육 주제에 양적연구와 질적연구가 균형있게 수행되기 위해서는 교육부나 국책연구소에서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공개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탈북청소년의 교육문제는 더이상 학교나 교육만의 문제가 아닌 여러 사회적인 주제들과 연결되고 있어서 교육 이외 분야에서의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Since the 2000s, the number of North Korean migrant students has increased in South Korea. But North Korean migrant adolescents still face difficulties in school. The result of analysis of research trend in North Korean migrant students’ education will provide som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on North Korean refugee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 analyzing researches related to education of North Korean migrant adolescents. School and learning were the topics which accounted for more than half of the whole study. The proportion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overwhelmingly higher than that of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Educational problem of North Korean Migrant adolescents is no longer solely a matter of school but is connected with various social themes, so research in other fields is requir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