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Comparison Analysis PISA Mathematical Literacy Score Using Propensity Scor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화경(Kim, Hwa Ky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24호, 623~64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OECD PISA 수학 성취도 추이를 분석한다. 선행 연구에서는 PISA 2015 수학 성취도는 그 이전에 비해 크게 하락한 것으로 보고 되고 있지만, 원인 분석은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수학 성취도 추이 분석과 함께 하락 원인을 탐색하
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PISA 본부에서 제공하는 원시 데이터를 2018년 11월 수집하여 성별, 학년별, 사회경제적 여건별 환경이 비슷한 비교 집단을 경향점수매칭 기법으로 선정하고, 집단 간의 비교를 통해 우리나라 수학 성취도 추이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PISA 2003, 2006, 2009, 2012, 2015에서 우리나라와 비교 집단인 동아시아와 북유럽의 수학 성취도는 큰 변화가 없었지만, 유독 우리나라만 PISA 2015에서 큰 폭의 하락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성취도 하락 원인으로 지목되는 컴퓨터 기반 평가와 관련하여 PISA 2015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의 문항 반응 시간과 동작 횟수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문항 반응 시간은 비교 집단에 비해 짧고 동작 횟수는 비교 집단에 비해 많다는 모순적인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특징이 갖는 의미를 수학교육적 관점에서 논의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OECD PISA. In OECD PISA 2015, Korea s mathematical literacy achievement was lower than the previous PISA’s.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s in mathematical literacy achievement in Korea by year and examines the changes using propensity scores.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the view that the cause of the drop in score may be in the transition to computer-based assessment, the comparative group s response time and number of actions are investigated. As a result, we confirm the short response time of the Korean students and the more number of actions. We discuss the meaning of mathematics education about the result.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