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between Job Stress and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종운(Jong-Un Kim) 김영금(Kim-Young Gu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24호, 1413~144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장 내외의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과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8년 2월 13일부터 3월 20일에 걸쳐 부산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 중인 영유아교사
26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처리 및 분석은 SPSS Ver. 22.0와 Hayes(2013)의 PROCESS macro for SPSS Ver. 2.16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 행복감, 회복탄력성, 직장 내 사회적지지, 직장외 사회적 지지는 모두 부적상관이 있다. 둘째, 영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장 내 사회적 지지는 부분 매개효과가 있다. 셋째, 영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장 외 사회적 지지의 부분 매개효과가 있다. 넷째, 영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의 부분 매개효과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영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행복감을 높일 수 있도록 개인 외적 변인인 직장 내외의 사회적 지지와 개인내적 변인인 회복탄력성의 특성에 기초하여 더욱 효과적인 전략과 개입에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영유아교사들의 행복증진 향상을 위한 다각적 영역에서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between job stress and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order to figure these out, 265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a daycare center in Busan were selected.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02.13 to 03.20. SPSS Ver. 22.0 and
PROCESS macro for SPSS Ver. 2.16 of Hayes(2013) had been used in the data processing and analysis collec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job stress, happiness, resilience, social support of inside workpla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all ineligible. Second, in the influ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stress affecting happiness, social support of inside workplace has partial mediating effect. Third, in the influ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stress affecting happiness, social support of outside workplace has partial mediating effect. Fourth, in the influ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stress affecting happiness, resilience has partial mediating effect.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they could be used for more effective strategies and interventions based on personal external resources, social support both inside and outside of the workplace and the resilient nature of individual internal variables, in order to reduce job stress and increase the sense of happiness for early childhood teacher. Based on this, it is hoped that it will be used as a basic research material in various areas to promote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