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spirituality and gratitud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e and post-traumatic growth of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 teachers who experienced violenc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인자(Kim, In Ja) 이명하(Lee, Myung Ha) 김지영(Kim, Ji Yo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24호, 199~21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생이나 학부모로부터 폭력 피해를 경험한 중등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외상 후 성장 간의 관계에서 영성과 감사성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J도에 위치한 19개 중· 고등학교에 근무 중인 교사로 최근 1년 이내에
학생이나 학부모로부터 폭력피해를 경험하였다고 자가 보고한 149명이었다. 자료 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독립 t-test, ANOVA, 상관분석, 매개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대상자의
자아탄력성, 영성, 외상 후 성장은 중간정도 수준이었으며, 감사성향은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둘째, 폭력피해를 경험한 중등교사의 자아탄력성, 영성, 감사성향과 외상 후 성장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폭력피해를 경험한 중등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외상 후 성장 간의 관계에서 영성과 감사성향이 각각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폭력 피해를 경험한 중등교사의 외상 후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영성과 감사성향을 활용하는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의 적용에 기초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spirituality and audit tenden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e and post-traumatic growth of middle school teachers who experienced violent harm from students or par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49 teachers who were working in 19 middle and high schools located in J’ do and who self-reported experienced violence from students or parents with in the last year. For data analysis, independent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parameter regression analysis were applied
according to research problems using the SPSS 23.0 program.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subjects ego-resilience, spirituality, and post-traumatic growth were moderate, and gratitude was high.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go-resilience, spirituality, gratitude, and post-traumatic growth of middle school teachers who experienced violent damage. Thirdly, it was found that the perfect mediating effect of spirituality and gratitude on relationship between the ego-resilience and the post-traumatic
growth of the teachers who experienced violence damage. This suggests that spirituality and gratitude to promote post-traumatic growth of teachers who experienced victims of violence are important related cau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hat we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ducational and training programs that utilize spirituality and gratitude to promote post-traumatic growth of teachers who experienced violence damag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